본문 바로가기

나의 음악 공부

KPOP의 장르와 시장

K-POP 장르

K-POP이라 하면 한국의 팝으로서 한국만의 감염력있는 음악 퍼포먼스 시각적 아름다움이 있을것이다.  케이팝의 영향력은 세계적으로 눈에띄게 성장했다. 그렇다면 K-POP의 분류는 한국에서의 탄생만을 의미 하는것일까? K-POP의 장르의 구분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이다. 분명 K-POP은 깊은 영향력을 가지긴 했으나 곡의 구성은 힙합,R&B,일렉트로닉 플라시즈 등 조화로운 연주로 장르의 경계를 모호화시키고 새로운 창작을 탄생시킨다.BTS는 K-POP으로 분류되나 다이너마이트 버터 등 영어로된 곡을 발매하면서 차트인을 했다. 언어는 영어이며 아티스트의 국적은 한국이다. 또한 외국인 구성으로된 그룹도 있으면서 한국인이 한다는 통념또한 깨졌다. 한국이 만든 일본인 걸그룹 필리핀 그룹, 몸집이 큰 대형기획사도 이 흐름에 타 올랐다.

개인적 견해로 해외에서의 KPOP은 아이돌음악에 가깝도 생각된다.

 

K-POP의 시장

K팝의 세계적 성공과 인기는 음악 산업의 눈에 띄는 흐름이다. BTS는 미국 대표 차트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'빌보드200'과 싱글 차트 ' 핫 100'에서 여러 차례 1위에 올랐다.20년도 BTS는 차트인 32 주 의 기록을 남겼다. 

2017년 말 KPOP의 인기를 증명하듯 빌보드 내에 'KPOP'을 장르 카테고리로 분류했다

32

출처 : WIKIDIA

 

케이팝 관련 대화량이 급격히 상승한 시기는 2016년 하반기와 2017년 상반기 사이의 구간으로 당시 가장 많이 언급된 가수는 방탄소년단(BTS)·갓세븐·세븐틴이었다.

https://v.daum.net/v/A8gDOUkCNQ?f=p

 

트위터리안 홀린 BTS..트위터, 10년 역사 담은 '케이팝 세계지도' 발표

(서울=뉴스1) 정윤경 기자 = 트위터가 지난 10년간 전세계 트위터에서 발생한 케이팝(K-POP) 데이터를 분석해 작성한 '2020 케이팝 세계지도'를 22일 발표했다. 케이팝 세계지도는 2010년 7월1일부터 202

v.daum.net

 

KPOP의 세계지도

 

 

“K팝, 세계 실물 음반산업 성장 큰 공헌”

‘2023년 세계 음반산업 10.2% 성장, 구독 기반 스트리밍과 실물 음반 각각 11.2%, 13.4% 성장.’

국제음반산업협회(IFPI)가 최근 발표한 수치다. 전세계 8천개 넘는 음반사를 회원사로 둔 국제음반산업협회는 해마다 세계 음반산업 동향을 담은 보고서를 만들어 발표한다.

국제음반산업협회는 이런 결과를 어떻게 볼까? 영국 런던 본사에서 싱가포르 지사로 출장 온 루이스 모리슨 글로벌 데이터·차트 책임자를 지난 11일 온라인 화상으로 만났다. 그는 “세계 음반산업이 최근 몇년 새 두자릿수 성장을 지속해왔는데, 우리도 예상치 못한 성과다. 스트리밍 시장이 전체 성장을 앞에서 이끌었고, 실물 음반 시장에선 케이팝이 큰 공헌을 세웠다”고 설명했다.

과거는 실물음반이 지금은 스트리밍 비율이 67.3%에 이른다. 

 

https://www.hani.co.kr/arti/culture/culture_general/1136619.html

 

“K팝, 세계 실물 음반산업 성장 큰 공헌”

‘2023년 세계 음반산업 10.2% 성장, 구독 기반 스트리밍과 실물 음반 각각 11.2%, 13.4% 성장.’ 국제음반산업협회(IFPI)가 최근 발표한 수치다. 전세계 8천개 넘는 음반사를 회원사로 둔 국제음반산업

www.hani.co.kr

국내 음악시장

 

조사 체계 

본 조사의 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는 만 10세부터 만 69세 이하의 국민 중 최근 1년 동안 음악 콘텐츠를 ‘2~3개월에 1회 이상’ 이용한 경험자이다.

 

 

국내 음악시장 본론

주 1회이상 음악 이용은 20대가 가장 높았다. 거의 매일 듣는응답자가 46.7이였다.

대부분 음악이용자는 '교통수단'에서의 청취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 휴식>다른일하면서 순 으로 높았다.

 

음악감상의 이용수단은 '온라인 동영상 사이트'가 86.4%로 가장 높게 > 음원스트리밍 > 텔레비전

스마트폰 > 컴퓨터 > 텔레비전

10~20대에서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가 상대적 가장 높았다.

 

특히나 댄스/아이돌음악은 10대 여성 비율이 높았고

 

50대는 발라드 OST 청취율이 높았다.

 

응답자 특성별 즐겨듣는 음악 장르

 

10,20,30대 기준으로

 

아이돌댄스 > 발라드 > OST > 랩/힙합 > R&B > 인디음악 > ROCK >EDM > 재즈  순이다.

 

음악 다운로드 서비스 이용 이유

 음악을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이유는 ‘편히 감상하기 위해서(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 등)’가 39.0%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.

‘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음악이기 때문에’ 응답 비율은 1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.

 

굿즈 구매는 10대 여성에서 높다.

 

향후 팬덤 활동 연평균 지불 의향은 남성 그리고 40~60대가 높았다.

 

시사점

 

국외 시장은 아이돌 시장이 큰 점유율을 지니고 있음을 알수있다. 비록 리서치내용으로 판단하는것은 큰 위험을 지니고있다.

더 많은 조사와 매출분석 영업이익 앞으로의 전망 회사의 보고서등 조사가 필요하지만

가볍게 시장을 알아본다는 생각으로 글을 써보았다. 아이돌팬덤은 10대 여성의 큰 지출이 보이고 있으면 20대 그리고 보이그룹의 수익이 더 크다는점을 알수있다. 또한 스트리밍 재생의 수익과 팬덤을 겨냥한 굳히기 방식 그리고 음악뿐만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수익을 내고있다는점 즉, 필자는 음악은 작은 부분의 시작이라는것이다.

'나의 음악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음악의발전 한눈에보기  (0) 2024.06.07
붐뱁과트랩의차  (0) 2024.06.07
대중음악의 역사  (1) 2024.06.07